이주이론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독 광부를 통해 살펴본 이주이론 및 이주정책 들어가는 중... 저는 독일에서 10년째 살고 있고, 독일에 광부와 간호사로 온 사람들과 친합니다. 그러다 보니 1960~70년대 광부들의 이야기가 남의 이야기 같지 않아 눈물을 흘릴 때가 많다. 따라서 이번 강연에서 배운 다양한 이주이론과 정책을 활용해 파견 광부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자 한다. 요점 1. 독일 광부선언 당시 한국의 상황 1950년대 한국의 상황은 8·15 해방과 6·25전쟁 이후 말 그대로 폐허가 됐고, 미국 원조 경제의 틀에서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다 1960년대 국가가 경제발전을 주도하고 수출을 늘리면서 경제상황이 개선됐지만 외채 상환이 어려웠다. 그리고 자본과 산업 시설의 부족으로 잉여 노동력이 경제적,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기술연수생, 광부, 간호사 등을 중심.. 더보기 이전 1 다음